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국공립대 위기, 지역대학별 고유모델로 넘자”

알림

“국공립대 위기, 지역대학별 고유모델로 넘자”

입력
2016.12.25 20:00
0 0

[전국 초대석] 윤여표 충북대 총장

내년 국-공립대총장協회장 취임

“협의회, 단순건의 반복 안돼”

“TF 꾸려 41개 대학 의견수렴”

“새로운 개선-발전안 찾아야”

전국 국공립대총장협의회장으로 추대된 윤여표 충북대총장은 “회원 대학간의 소통과 협력을 통해 구조개혁 등 현안을 해결하고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국공립대의 책무를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전국 국공립대총장협의회장으로 추대된 윤여표 충북대총장은 “회원 대학간의 소통과 협력을 통해 구조개혁 등 현안을 해결하고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국공립대의 책무를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윤여표(60) 충북대 총장의 이름 앞에는 ‘혁신 총장’이란 수식어가 붙는다. 그는 2년 전 취임식에서 책을 뒤집어쓴 뒤 소정의 장학금을 기부하는 ‘북버킷챌린지’를 선보였다. 기부 문화를 전파하려는 취지로 시작한 이 이벤트에는 충북대 교직원들은 물론 교육감, 시장ㆍ군수 등 지역 주요 인사들까지 대거 동참하면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윤 총장은 올해 주요 보직교수 20명을 공모와 추천 방식으로 선발했다. 총장이 측근을 임명하던 묵은 관행을 과감히 깨뜨린 것이다. 스스로 권한을 내려놓은 ‘인사실험’에 대해 그는 “학교에 헌신할 분을 찾는데 훨씬 효율적이고 투명한 방식”이라고 역설했다.

윤 총장의 탈 권위 행보는 소통에서 나온다. 지역사회에 다가가기 위해 그는 KTX오송역에 충북대북카페를 열었고, 평생교육원을 구도심 지역으로 확장ㆍ이전했다. 충북대 캠퍼스 안에는 곧 시내버스가 들어올 예정이다.

윤 총장은 우리나라 국ㆍ공립 대학 전체의 변화와 발전을 이끄는 일에도 앞장서고 있다.

지난 1년 여간 거점국립대학교 총장협의회장으로 활약한 그는 내년에는 제24대 국ㆍ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 회장으로서 더 큰 걸음을 준비하고 있다. 연이어 협의회장으로 추대된 그는 “식품의약품안전청(현 식품의약품안전처) 청장 등을 지낸 행정경험과 충북대의 최근 발전상을 총장님들이 높이 평가하신 것 같다”며 “대학이 위기인 상황에 중책을 맡아 더욱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새해부터 전국 41개 국ㆍ공립대학교 총장들의 협의기구 대표로 활동하는 윤 총장을 만나 국ㆍ공립대의 현안과 대학발전을 위한 정책방향, 제도개선 방안에 대해 들어봤다.

-대학에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국ㆍ공립대의 현주소는.

“우리 대학사회가 안팎으로 위기다. 학령 인구가 감소해 2018년이면 대학 입학 정원이 고등학교 졸업생 수를 앞지른다. 2023년에는 대학 정원 미달이 16만 명에 달할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취업난이 가중되면서 대학 졸업의 메리트도 줄어드는 상황이다. 게다가 등록금 동결, 반값등록금 정책 여파로 대학들은 심각한 재정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국ㆍ공립대의 시설 노후는 아주 심각한 수준이다. 우리 충북대만해도 거의 모든 건물이 건립한 지 40년이 지났다. 노후 기자재 교체 등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사업도 시급한데 재정부담으로 조속히 추진하기가 어렵다.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국ㆍ공립대도 나름 혁신에 나서고 있지만 아직 사회변화와 요구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뼈를 깎는 혁신과 구조 개혁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시간이 많지 않다.”

-국ㆍ공립대가 나가가야 할 방향은.

“급변하는 교육환경 속에서 국ㆍ공립대의 지향점은 분명하다. 지역대학 특성에 맞는 고유 모델을 만들어 자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국ㆍ공립대는 지역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고등교육기관이다. 지역 대학이 무너지면 지역공동체도 함께 붕괴한다. 지역대학에 좋은 인재가 많아야 지역발전의 길이 열린다. 국ㆍ공립대가 지역사회와 긴밀히 연계해야 하는 이유다. 국ㆍ공립대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잘하는 분야와 경쟁력있는 분야를 키워 투자해야 한다. 그렇다고 국ㆍ공립대가 취직양성소가 되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국가 백년 대계를 위한 미래형 창의 인재를 키우는 데 앞장서야 하고, 전공에 관계없이 인문소양 교육을 강화해서 건강한 시민으로 키우는 역할도 해야 한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하다. 국ㆍ공립대는 국가가 공공을 위해 설립한 교육기관 아니냐.”

-대학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 비전으로 담아낼 복안은.

“국ㆍ공립대 총장협의회는 대학교육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면서 다양한 교육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공동 노력하는 협의기구다. 협의회가 제 역할을 하려면 무엇보다 대학 현장의 소리를 잘 수렴해야 한다. 취임하면 의견 수렴 창구 역할을 할 태스크포스(TF)를 꾸릴 생각이다. TF는 국ㆍ공립대 주요 대학의 기획처장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국 41개 대학별로 올라오는 의견을 상시 취합, 발전방안이나 제도개선안을 찾아 총장협의회 회의 안건으로 올린다. 이런 시스템이라야 대학 현장의 요구를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총장협의회 회의에 맞춰 안건을 찾거나 매번 비슷한 내용의 단순 건의사항만 논의해서는 발전이 없다. 협의회장에 취임하는 대로 이 TF를 상설기구로 만들어 총장협의회 운영에 십분 활용하겠다.”

-협의회장으로서 국회ㆍ정부를 직접 상대해야 하는데.

“국ㆍ공립대 발전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고 제도를 개선하려면 국회와 정부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진정성을 갖고 직접 대화를 통해 국회와 교육부, 기획재정부를 설득하고 이해시키겠다. 과거 식약처장,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을 지낼 때도 진정성 하나로 국회와 정부기관을 상대로 나름 성과를 거뒀다고 자부한다. 당시 쌓아놓은 인맥과 행정경험이 국ㆍ공립대 현안을 풀어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믿는다. 전국 국ㆍ공립대의 목소리를 하나로 모아 정치권과 중앙부처에 전하고 발전 방안ㆍ정책을 이끌어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

한덕동 기자 ddha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