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사설] ‘오보청’ 오명 벗도록 날씨 예보 신뢰도 높여야

알림

[사설] ‘오보청’ 오명 벗도록 날씨 예보 신뢰도 높여야

입력
2016.08.10 20:00
0 0

요즘 기상청의 날씨 예보가 자주 틀리다 보니 ‘오보청’ ‘청개구리 예보’라는 비아냥까지 들려온다. 기상청은 지난 장마 기간에 하루 전날은 물론 당일 예보조차 제대로 맞히지 못해 국민들의 원성을 샀다. 이처럼 기상청 예보가 번번이 빗나가면서 BBC웨더(영국)나 아큐웨더(미국) 등 해외 기상사이트에서 국내 날씨 정보를 얻으려는 사람이 늘고 있다고 한다. 선진국 예보 체계가 더 정확하지 않겠느냐는 기대감이 반영된 현상으로 풀이된다.

원래 장마철에는 날씨 예측이 쉽지 않다. 대기가 불안정하고 기상 상태가 변화무쌍한 탓이다. 지난해 장마기간 예보 정확도는 49%에 불과했다. 그렇더라도 올해 2월 532억원을 들여 구입한 슈퍼컴퓨터 4호기까지 가동 중인데 정확도가 더 떨어진 건 이해하기 어렵다. 최근 빈발하는 국지성 호우로 크고 작은 피해가 속출하지만 기상청은 슈퍼컴퓨터도 게릴라성 기습 폭우를 정확하게 예측하긴 어렵다며 속수무책이다.

급격한 기후변화 탓에 최근 수년간 지구촌 곳곳에서 폭염, 폭설, 호우, 태풍, 가뭄 등 기록적인 자연재해가 나타나고 있다. 지구온난화 추세가 계속되면 자연재해는 갈수록 잦아지고 피해 규모 또한 커질 것이다. 더구나 한반도는 지구 평균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기온이 올라 2020년이면 남부지방이 아열대 기후로 바뀔 것으로 예측된다. 동남아의 열대성 스콜처럼 국지성 호우가 일상화할 수 있는데 장마보다 예측이 더 어려워 막대한 인명과 재산피해가 우려된다.

이제 한반도는 재해 위험지대로 진입했다고 봐야 한다. 날씨 예보가 맞느냐 틀리냐에 따라 사회ㆍ경제적 파급력은 상상을 초월한다. 돌발적이고 국지적인 기상 변화에 대한 예보 능력을 한층 강화해야 하는 이유다. 기술적 한계만 따질 게 아니라 예측 가능성을 높일 실효성 있는 대책을 고민해야 한다. 관측장비와 전문인력 보강은 기본이고, 단순한 기상특보 수준이 아닌 사회ㆍ경제적 영향을 고려한 ‘영향예보’ 수준으로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시점이다.

아무리 성능이 뛰어난 기상관측 인공위성과 슈퍼컴퓨터가 있어도 예측 자료를 분석하고 판단하는 건 결국 인간이다. 오랜 경험과 전문적 판단 능력을 갖춘 예보관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 그런데 기상청 예보관은 24시간 근무체제여서 일은 힘든 반면 예보가 틀리면 온갖 비난이 쇄도해 기피부서로 전락했다고 한다. 이래서는 예보 정확도를 끌어올리기 어렵다. 유능한 인재들이 예보관에 유입되도록 인사 및 보상 시스템을 재점검하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