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2.24 (일)
거짓말과 속임수에 관대한 사회
속고 속이는 것에 관대했던 우리 역사신뢰 낮고 사기 만연한 현실로 이어져사회지도층부터 달라진 모습 보여줘야“그대로네. 사람들은 별로 변한 게 없어.”다소 엉뚱한 상상을 해봤다. 1653년 제주도에 표착해 13년...
2019.02.20
김경근
왜 교권은 속절없이 무너지는가
교권 추락의 이유가 차고 넘치는 현실상황 나아질 가능성이 희박해 더 문제교사 양성 및 승진 제도부터 일신해야가끔 교직에 있는 제자들의 얼굴을 떠올리곤 한다. 반듯하고 명민해 훌륭한 교사가 되기에 부족함이 ...
2019.01.23
혁신학교는 진화해야 한다
혁신학교의 변화가 불가피한 시점 도래양적 확대보다는 오해와 불신 해소하며시대 변화에 부합하게 새롭게 진화해야혁신학교의 변화가 불가피해 보인다. 지난해 말 서울 송파구 헬리오시티에서 혁신학교 지정을 둘러...
2019.01.02
빈 둥지에 서재를 들이며
상거래 계약과 같아진 부모 자녀 관계돈의 위력을 맛볼수록 물질 의존 심화가치와 정신의 전수에 관심 더 가져야지난 2월 큰딸을 출가시켰다. 공부부터 취업까지 모든 걸 스스로 알아서 해결했기에 부모로서 신경 쓸...
2018.12.12
혐오사회에서 청소년 구하기
상당수 청소년, 혐오 내면화 징후 보여학교 안팎 풍토가 혐오 조장 소지 다분잔인한 경쟁 걷어내고 시민교육 힘써야사회 곳곳에 혐오가 넘쳐나고 있다. 만연한 왕따 현상에서 엿볼 수 있듯 학교도 예외는 아니다. 지...
2018.11.21
다시, 부모의 도리를 묻다
부모가 자녀를 끝까지 책임지는 사회빗나간 자녀 사랑과 도덕 불감증 유발진정한 부모의 도리 깊이 성찰할 필요 한때 기여입학제에 눈길을 준 적이 있다. 1990년대 후반에 농어촌특별전형 입학생들의 지도교수를 맡...
2018.10.31
나를 일깨운 한 통의 전화
사회적 약자 연구엔 공감능력이 중요대안 없는 비판은 공허하고 비생산적연구자는 항상 사회적 책임 인식해야삶은 끊임없는 배움과 깨달음의 과정이다. 배움과 깨달음은 다양한 맥락에서 발생한다. 때로는 낯선 누군...
2018.10.09
전쟁터가 된 학교
학교를 피아 불명의 전장 만든 내신경쟁 내몰린 학생 심성도 피폐해져하루 빨리 절대평가로 전환이 해답공간은 정신과 영혼을 지배한다. 감수성이 예민한 아동이나 청소년에게만 적용되는 얘기가 아니다. 성인의 정...
2018.09.11
다시, 학부모에서 부모로
‘우린 자녀의 남다른 경쟁력을 고민하며어떻게든 성적을 올리려 골몰하곤 한다.참된 교육 아닌 사육에 빠진 건 아닐까.’오래 전 관악산으로 등산을 다닐 때 일이다. 하루는 해가 뉘엿뉘엿 떨어질 무렵에 산을 찾았...
2018.08.21
발상 전환 요구되는 저출산 대책
재정지원 통한 출산율 제고 정책 한계비혼ㆍ저출산 배경은 불합리한 여성차별여성 자아실현 가능한 사회환경 이뤄야학부에서 전공 수업을 할 때 적어도 한 주는 결혼과 출산 문제를 다룬다. 여기엔 해당 사안에 대한...
2018.07.31
결혼 세태 속 신세습사회 그림자
학력 우선이었던 배우자 선택 기준소득양극화 등에 부모 재력이 대체 결혼마저 가진 자들의 축복이어서야 어떤 사회에서든 결혼은 무작위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대개 사람들은 자신과 사회적 지위, 학력, 종교 등이 ...
2018.07.10
모바일 시대 가문의 성쇠
SNS 평판 위력 확인해 준 재벌 갑질가진 자의 기득권 유지 전략 변해야자녀의 반듯한 품성 육성이 안전장치한 재벌 총수 일가가 절체절명의 위기에 직면했다. 온갖 갑질, 횡포와 비리 의혹이 꼬리에 꼬리를 물며 국...
2018.06.19
노인 빈곤과 교육비 지출
한국, OECD국가 중 노인빈곤율 최고수입 비해 과다한 교육비 지출이 원인노후 대비해 자녀관계도 냉정해져야매일 아침 집 근처 초등학교로 운동을 나간다. 20년 넘게 지켜온 습관이다. 그런 내 눈에 언제부턴가 적잖...
2018.05.29
교사ㆍ학생 관계의 사회심리학
자녀교육 교사 의탁 경향 강한 소외계층교사는 엇나가는 그들 자녀에 깊은 상처힘들어도 소외 학생 보듬는게 교사 숙명계층 간 교육격차 연구에 매달린 지 10년이 훌쩍 넘었다. 그간 문제의 실상과 배경을 파악하고 ...
2018.05.08
“억울해서 학교에 어떻게 다녀요.”
명문대에만 집착하는 학교와 기업학벌 획득 강박에 휩싸인 학생들학벌주의 방치는 사회 존립 위협몇 해 전 교양과목을 가르칠 때 일이다. 수업을 마치고 연구실로 돌아오는데 한 학생이 나를 붙잡아 세웠다. 1주일 ...
2018.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