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온라인 가짜뉴스 판별법 교육 나선 프랑스

알림

온라인 가짜뉴스 판별법 교육 나선 프랑스

입력
2018.12.17 01:00
18면
0 0

2015년 샤를리 에브도 테러 이후 음모론 퍼지자 독해력 교육 착수

“온라인 내용 그대로 믿지 말자” 학교 수업 지원 예산 올해 77억원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이 게시글은 신뢰할 만한 것일까요?”

지난 12일(현지시간) 프랑스 남동부 리옹 인근에 위치한 앙리 바르뷔스 중학교에서 진행된 온라인 독해력(internet literacy) 기르기 수업. 1일 강사로 나선 AFP통신 기자 산드라 라퐁이 질문을 던지자 학생들의 눈빛이 반짝였다. 프랑스 극우정당인 국민연합 대표 마린 르펜이 트위터에 올린 글에 대한 라퐁의 질문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갈렸다. 한 학생은 “그의 계정이 맞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다”고 답했고, 또 다른 학생은 “관심을 끌려는 글 같다”며 의문을 표시했다.

‘가짜뉴스’가 사회문제로 떠오르면서 프랑스가 자국민들의 ‘온라인 독해력’을 높이기 위해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13일 뉴욕타임스(NYT)는 “프랑스는 다른 국가들보다 먼저 미디어와 인터넷 독해력 확대의 필요성을 인지, 관련 수업을 지원하고 있다”며 교육 현장의 모습을 소개했다. 수업에서는 온라인 게시물의 ‘팩트 체크’를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사이트 등을 안내한다.

NYT에 따르면 프랑스 정부는 2015년 이후 온라인의 부정적인 면을 인지할 수 있는 수업에 대한 지원예산을 지속적으로 늘려오고 있다. 올해 예산은 600만유로(약 77억원)로 2015년에 비해 2배가량 늘었다. 매년 교사와 강사 등 약 3만명이 온라인 독해력 강화 수업과 관련된 연수를 받고 있다. 일부 지방 정부는 해당 수업을 이수해야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실상 교육을 강제하고 있다.

프랑스가 온라인 독해력 강화에 나선 이유는 2015년 1월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이 주간지 샤를리 에브도의 언론인들을 살해한 테러 사건이 발생한 이후 사건 배후를 둘러싼 갖가지 음모론이 퍼졌기 때문이다. 여기에 미국과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 대한 러시아 개입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프랑스 정부는 대책 마련에 팔을 걷어붙였다.

이런 수업이 주는 메시지는 간결하다. 온라인에 올라오는 내용을 그대로 믿고 받아들이지 않도록 주의하자는 것이다. 이런 교육 시기는 빠를수록 효과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젊은 세대일수록 책과 신문 등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검증을 거친 전통매체가 아니라 온라인상에서 정보를 접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극단주의 예방 활동을 벌이는 비영리기구 그룹SOS 소속 직원인 밥티스트 라로우드 타세는 NYT에 “상당수의 젊은층은 뉴스를 보지 않는다. 그들은 무언가에 관심이 생기면 그것을 어떻게 적절히 확인해야 하는지 모른 상태에서 그냥 더 알 필요가 있다고 느낄 뿐”이라며 문제점을 지적했다.

실제 정보가 넘쳐나는 온라인 세계에서 우연히 접한 정보를 무분별하게 흡수할 위험은 늘 존재한다. 온라인 독해력 관련 워크숍에 참가한 경험이 있는 페이컬 벤 압달라(20)는 “알고 있는 가짜뉴스를 쓰라고 해서 경찰의 과잉 대응을 과장한 게시글을 언급했는데, 참가자 중 상당수가 이 뉴스를 사실로 믿고 있는 것을 알게된 순간 오싹했다”고 전했다. 터키의 디지털 콘텐츠 전략가인 수크루 옥타이 킬릭은 터키 일간 휴리예트에“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이용자로부터 매일 30여건의 가짜뉴스 추정 게시글을 신고받고 있다”며 “이런 뉴스는 순식간에 온라인상에 퍼지는데, 그만큼 사람들이 가짜뉴스를 신뢰하고 있으며 이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고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교육에도 한계는 있다. 유튜브에서 엔지니어로 일했던 기욤 샤스로는“SNS 알고리즘의 특성상 관계를 맺고 참여하는 것을 우선순위에 두기 때문에 의심스러운 출처에서 나왔다해도 선정적이고 잘못된 콘텐츠는 빨리 퍼지게 돼 있다”면서 “교육만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채지선 기자 letmeknow@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