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푸틴 “크리미아 총기난사, 미국 사건 모방한 것”

알림

푸틴 “크리미아 총기난사, 미국 사건 모방한 것”

입력
2018.10.19 10:07
수정
2018.10.19 22:43
0 0

“세계화ㆍSNS 때문”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8일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발다이국제토론클럽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소치=AP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8일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발다이국제토론클럽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소치=AP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크림 반도에서 발생한 10대 남성의 총기난사 사건의 원인을 ‘세계화’로 지목했다. 미국 학교에서 발생한 총기난사 사건 소식을 접한 크리미아 청년이 이를 모방했다는 것이다.

푸틴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포럼에서 전날 발생한 총기난사 사건을 두고 “어느 모로 보나 세계화의 결과다. 소셜 미디어와 인터넷에 특이한 커뮤니티가 많다”라며 “잘 알려진 미국 학교에서의 비극적인 사건이 모든 문제의 시작이었다. 마음이 불안정한 청소년들이 가짜 영웅을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어 “이는 러시아뿐 아니라 전세계 모두가 변화하는 세계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라며 “청년들에게 필요한, 인상적이고 쓸모 있는 콘텐츠들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푸틴 대통령이 말하는 ‘가짜 영웅’이란 1999년 미국 콜럼바인 고교 총기 난사 사건 가해자들을 가리킨 것으로 해석된다. 이미 러시아 언론은 이 사건을 “러시아판 콜럼바인” 사건이라 부르며 보도하고 있다. 크리미아 총기난사 범인 블라디슬라프 로슬랴코프가 범행 수 일 전 과거 학교 총기난사 사건 영상을 계속해서 보고 있었다는 범인 모친의 증언도 나왔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로부터 병합한 크리미아의 케르치 기술전문학교에서 총기난사 범행을 저지른 블라디슬라프 로슬랴코프가 폐쇄회로(CC)TV 영상에 포착된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로부터 병합한 크리미아의 케르치 기술전문학교에서 총기난사 범행을 저지른 블라디슬라프 로슬랴코프가 폐쇄회로(CC)TV 영상에 포착된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청소년 불안’ 논의 속 “조력자 조사” 목소리도

로슬랴코프는 17일 자신이 재학 중인 케르치 기술전문학교에서 총기를 난사하고 폭탄을 터트려 현재까지 21명이 숨지고 50명 이상에 부상을 입혔다. 피해자 대부분은 학교 학생이었으며 가해자 자신도 자살했다. 조사위원회는 사건을 당초 테러 공격으로 분류했다가 나중에 다중 살인사건으로 재규정해 조사에 임했다.

현재로서는 로슬랴코프의 우발적 단독 범행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범행 의도는 알 수 없지만 러시아 언론은 로슬랴코프가 불우한 가정에서 성장했고 평소 말수 적고 내성적이었으며 주변인과 큰 문제는 없었지만 가끔 광기 어린 모습을 보였다는 등 범인의 성격에 대한 분석을 내놨다.

올해 들어 ‘불안정한 청소년의 공격’ 사건은 여러 차례 러시아 언론에 보도된 바 있다. 1월에는 시베리아에서 한 학생이 교사와 동급생을 도끼로 공격하고 학교 건물에 불을 지르려 했다. 4월에는 우랄산맥 인근 학교에서 교사와 동급생을 칼로 찌르고 교실에 불을 지른 사건이 보도됐다. 하지만 케르치 기술전문학교 사건처럼 다중 살인 사건으로 번진 것은 전례가 없다. 러시아 친정부 일간지 이즈베스티야는 “이런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으리라 단언할 수 없다”라며 “러시아 학교 내 학생 심리 상담이나 가족을 지원하는 시스템이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배후가 있을 것이라는 시각도 여전히 존재한다. 러시아령 크림 공화국의 세르게이 악쇼노프 수반은 “18세 용의자가 공격을 혼자서 준비했을 거라고 보지 않는다”라며 “누가 범행 준비에 조력했는지 집중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는 총기난사 사건이 빈발하는 미국처럼 총기 규제가 느슨하지 않기 때문에 조력자가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번 사건을 인터넷 통제 강화의 명분으로 삼으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러시아 연방보안국(FSB)의 세르게이 스미르노프 제1부국장은 “사이버 공간이 유관 당국의 통제 아래 있어야 한다는 것은 우리 전문가들에게 있어 오래도록 분명한 사실이었다”라며 “이런 조치 없이는 정보 안보를 보장하고 현대 테러리즘 위협에 대응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인현우 기자 inhyw@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