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지평선] 지진 견디기

알림

[지평선] 지진 견디기

입력
2016.09.21 20:00
0 0

“지진이 없는 해가 없고 경상도에 더욱 많다.” “경상도 50여읍에 지진이 일어나 집과 담이 무너지고 산성도 붕괴됐다.” 이런 지진 기록이 조선왕조실록에만 1,899건이다. 문헌을 보면 고구려 유리왕 21년(서기 2년)부터 지금까지 2,500여건의 지진이 발생했다. 가장 피해가 컸던 지진은 신라 혜공왕(779년) 때 발생한 경주 지진. 삼국사기는 “집들이 무너져 100여명이 숨졌다”고 기록했다. 지난 600년간의 지진 사례를 분석한 경북대 황상일 교수 팀에 따르면 전체 지진의 33%가 영남지방에서 일어났다.

▦ 임금은 하늘을 대신해 세상을 다스리는 존재다. 그러니 지진과 같은 천재지변은 임금의 실정에 대한 하늘의 경고인 셈이다. 때문에 지진이 잦으면 임금은 백성에게 머리 숙여 사죄했다. 조선 중종은 재위 기간(1508~1544년) 30여차례나 지진을 겪었다. 그는 “내 마음이 가려져서 온갖 하는 일이 어그러졌는가…스스로 책망하니 몸 둘 바가 없다…”는 내용의 책기교서(責己敎書)를 내놓았다. 신하들도 책임을 졌다. 영의정 김수동은 충청도에 지진이 발생하자 “어진 정승을 뽑아 하늘의 뜻에 응답하라”며 사직을 청했다.

▦ 임금은 사과문 발표에 그치지 않고 민심 수습에 적극 나섰다. 누추한 곳으로 거처를 옮기고(避殿) 반찬 가짓수를 줄이며(減膳) 사면령도 내렸다. 숙종은 지진 피해 지역에 신하를 파견하고 해괴제(解怪祭)를 지냈다. 해괴제는 나라에 변고가 생겼을 때 지내는 제사. 고려 현종 14년(1023년) 김해에 지진이 났을 때 지낸 게 시초다(고려사). 지진, 홍수 등 자연재해는 물론 겨울에 꽃이 피거나 사람이 벼락에 맞는 등 불길한 일이 생겨도 해괴제를 지냈다. 하늘의 분노를 가라앉히고 백성을 안심시키기 위해서다.

▦ 현대 과학은 지진이 왜 생기는지, 어떻게 대처할지 잘 알려준다. 조기 경보시스템과 신속한 대피 유도, 내진 설계 등 체계적 매뉴얼을 갖추는 게 기본이다. 하지만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만들어진 재난 컨트롤타워는 이번에도 작동하지 않았다. 어디에도 국가는 없었다. 지진 견디기는 오롯이 국민 각자의 몫이었다. 정부는 과연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할 역량을 갖추고 있나. 국민은 불안하기만 하다. 지진에 속수무책인 재난 대응시스템을 보면 해괴제라도 지내는 게 차라리 낫겠다는 생각이다.

고재학 논설위원 goindol@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