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朴대통령이냐 유승민이냐'… 중재자 김무성의 선택은

알림

'朴대통령이냐 유승민이냐'… 중재자 김무성의 선택은

입력
2015.06.29 11:34
0 0

유승민 사퇴 불가피론 전환 관측도…'劉 모양새'도 고심'

'여러 경우의 수' 검토하며 '연착륙' 방안 고심

지난 2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유승민 원내대표와 김무성 대표가 고민스러운 표정으로 앉아 있다. 연합뉴스
지난 2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유승민 원내대표와 김무성 대표가 고민스러운 표정으로 앉아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당 내분 사태를 맞아 깊은 고민에 빠졌다.

국회법 거부권을 수용하면서도 유 원내대표의 재신임을 주도했지만, 친박(친 박근혜) 강경파가 사퇴 요구의 강도를 높이면서 사태가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친박계 최고위원이 최고위원직에서 사퇴하고 일부 최고위원도 여기에 동조할 것이라는 관측이 돌면서 '김무성 체제'가 와해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는 지경이다.

◇권력생리 잘 아는 김무성 "대통령 이길 수 있겠나" = 김영삼 전 대통령 시절 청와대 민정비서관과 내무부 차관까지 지내며 30년 넘는 정치 경험으로 누구보다 권력의 생리를 잘 아는 김 대표는 대통령의 뜻을 거스를 수는 없다는 인식이 강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대표는 전날 일부 기자들과 만나 "대다수 의원의 의견은 '대통령과 유 원내대표가 싸웠을 때 유 원내대표가 이길 수는 없지 않느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견 김대표가 입장을 바꿔 유승민 사퇴 불가피론쪽으로 기우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가능하다.

다만 유 원내대표가 '배신자'라는 오명을 쓰고 불명예 퇴진하게 둘 수는 없다는 게 김 대표의 생각이다.

게다가 최근에는 김 대표와 유 원내대표를 두고 '순망치한'(脣亡齒寒·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의 관계로 묘사하며 다음 차례가 김 대표가 될 것이라는 추측을 내놓고 있다.

실제 두 사람은 지난해 연말 터졌던 청와대 문건 파동 배후에 휘말리며 'K(김무성) Y(유승민)'라인으로 불린 적이 있다. 사실 여부를 떠나 청와대가 여당의 투톱을 바라보는 시각의 한 단면이라는 해석이 많았다.

어떻게든 청와대와 강경한 친박계를 설득함으로써 유 원내대표가 스스로 용단을 내릴 시간을 벌어주는 '바람막이' 역할을 하지 않겠느냐는 시나리오가 가장 유력하게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른바 '연착륙' 시도다.

그동안 김 대표가 친박계 맏형격인 서청원 최고위원이나 윤상현 김재원 청와대 정무특보를 물밑에서 부단히 접촉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는 유 원내대표와도 28일 밤 장시간 통화하면서 당과 청와대의 기류를 포함해 여러 경우의 수에 대한 논의를 벌였다고 한다.

당 관계자는 29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유 원내대표는 억울하겠지만 지금 이대로 가면 사퇴를 하냐, 안하냐를 놓고 계속 갈등을 벌이게 된다"면서 "이는 당 전체에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유승민 버티기'경우 친박 '축출' 시나리오 현실화 미지수 = 그러나 유 원내대표가 버티기를 원하는 비박계(비 박근혜)를 등에 업고 자리를 지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반작용으로 친박계 최고위원의 동반 사퇴로 현 지도체제의 붕괴를 촉발하는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섣불리 친박계가 이를 실행에 옮기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지난 2월2일 원내대표 경선에서 친박 주류가 풀 가동됐는데도 유 원내대표가 84표를 얻어 65표에 그친 이주영 의원을 눌렀다.

요컨대 권력지형 자체가 친박계에 유리하지 않아 친박계 최고위원의 사퇴로 비상대책위가 구성된다고 해도 친박계 위주로 된다는 보장이 없는 상황이다.

심지어 김 대표가 대표직을 던져 비대위가 꾸려질 경우 당헌·당규에 따른 비대위원장 승계 1순위는 바로 유 원내대표다.

만약 유 원내대표가 끝까지 버틸 경우 친박계가 찍어내려는 유 원내대표가 더욱 막강한 권력의 중심에 서게 되는 아이러니다.

지난해 황우여 대표가 전국 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사퇴했을 때도 당시 이완구 원내대표가 비상대책위원장을 겸임했다.

몇몇만 최고위원직에서 사퇴한다면 보궐 선거나 재지명을 통해 지도체제를 유지하는 방법도 있다.

선출직 최고위원은 보궐선거를, 지명직 최고위원은 다시 지명하는 동시에 이참에 그동안 공석으로 놔뒀던 지명직 최고위원도 한 명 채워 지도체제를 오히려 공고히 하는 것이다.

실제로 사퇴에 동참할 것이라고 점쳐지는 일부 최고위원은 내년 공천권 지분 확보나, 자신의 정치적 상황 때문에 사퇴하지 않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김 대표는 이 처럼 여러 경우의 수를 염두에 두고 유 원내대표 거취를 둘러싸고 빚어지고 있는 파국상황을 '연착륙'시키는 묘안을 찾는데 부심하는 상황이라는게 측근들의 전언이다.

연합뉴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